Konlp 텍스트마이닝 과정에서 먼저 정갈한 형태소분석을 위해
KoSpacing 이라는 띄어쓰기 교정 패키지를 다운받아 테스트 해보려 하였다.
## 띄어쓰기 교정 패키지 다운
https://hwangknock.tistory.com/8
한글 띄어쓰기 패키지 KoSpacing!
한글 띄어쓰기 패키지 KoSpacing! 지난 텍스트마이닝 글에서 띄어쓰기와 관련된 문제가 있다고 말했는데, 찾아보니 KoSpacing이라는 한글 띄어쓰기 패키지가 있더라구요. 예전부터 실행이 안 되길
hwangknock.tistory.com
근데 아나콘다가 설치된 환경해서 실행이 되나보다.
아나콘다를 설치하거나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등은 아래 두가지 경우가 있는데,
1. library(reticulate)
install_miniconda()
2. #library(remotes)
remotes::install_github("mrchypark/multilinguer") #conda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깔려고 불러옴
library(multilinguer)
has_conda()
내 개인 노트북에는 이미 오래전에 아나콘다를 설치한 경우여서 바로 아래 코드를 실행했다.
remotes::install_github("haven-jeon/KoSpacing")
library(KoSpacing)
set_env() # KoSpaicng의 spacing() 함수 실행 전에 초기에 한번 환경 셋팅을 해야한다.
근데 왠걸, set_env() 환경 셋팅하려다 오류 하나가 났는데, 이력을 보니
==> WARNING: A newer version of conda exists. <==
current version: 4.6.14
latest version: 4.10.3
Please update conda by running
$ conda update -n base -c defaults conda
라는 메세지가 떴다.
지금 아나콘다 버전이 4.6.14이니, 4.10.3으로 업데이트하라는 내용이다.
# 아나콘다 버젼 업데이트 들어간다.
https://kuduz.tistory.com/1171
파이선 아나콘다 최신 버전 업데이트하기
'파이선'은 'PIP(Python Package Index)'라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합니다. 이 글을 쓰고 있는 현재 PIP에는 20만1802개 프로젝트가 올라와 있습니다. 문제는 리눅스나 맥OS와 달리 마이크로소프트(MS)
kuduz.tistory.com
업데이트 첫 단계는 관리자 권한으로 '아나콘다 프롬프트(anaconda prompt)'를 실행하는 것.
그냥 시작 메뉴에서 'anaconda prompt'라고 검색하면 리스트에 뜹니다. 아이콘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실 수 있습니다.
그다음 아래처럼 입력하면 업데이트를 시작합니다.
conda update -n base conda
그러면 설치 도중에 'Proceed([y]/n)?'이라는 문구가 뜰 수도 있는데 그때는 당연히 'y'를 입력하시면 됩니다. (엔터만 치셔도 됩니다.)
이 명령은 기본 뼈대를 업데이트하라는 내용. 아나콘다에는 이미 패키지가 들어 있다고 했으니까 패키지도 같이 업데이트해야겠죠? 이렇게 입력하면 됩니다.
conda update --all
conda update --all
이번에도 마찬가지로 'Proceed([y]/n)?'이라는 문구가 뜰 수도 있는데 앞과 마찬가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. 이번 단계가 앞 단계보다 더 오래 걸립니다.
마지막 단계는 PIP 업데이트. 파이선 3.4부터 PIP를 내장하고 있는데 자동 업데이트 방식은 아닙니다. 그래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업데이트 해놓는 게 좋습니다.
python -m pip install --upgrade pip
python -m pip install --upgrade pip
축하합니다. 업데이트 작업을 모두 끝내셨습니다.
제대로 업데이트가 끝난 건지 궁금하시다면 아래 명령으로 현재 버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conda --version
(conda 4.10.3 으로 나왔다)
아나콘다 없으면 설치하면되고, 예~전에 설치한 경우는 아나콘다 버전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해서
KoSpacing 실행할 환경 셋팅을 만들었다.
다시 set_env() 시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