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른쪽 위 공공데이터 개방 클릭 -> open api 호출 인증키 발급
api 기술문서 받고 <- 여기에 호출 url의 항목명이라는 키값이 있음.
인증키는 타인에게 양도 또는 공유가 불가하다.
기술문서에 call back url과 키값들이 있다.
오픈 API 호출 구조
Call back URL?항목명1=값1&항목명2=값2
?로 시작하고
항목명=값
: 값은 미리 정의된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검색 키워드 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입력하기도 함
여러 항목을 &로 붙임
쓰셨던게 안된건 서비스 키가 없어서 일꺼에요
웹 주소창에 인증키/url치면(호출)
(응답) xml 구조 창이 뜬다.
이것을 텍스트.txt로 저장하고.
R에서 불러와 열 변수로 데이터프레임으로 저장. -->csv로 저장(깔끔)
이 전체 과정을. url호출부터 xml응답, 그리고 데이터프레임으로 저장까지 .
R내에서 다 할 수 있다.
httr라이브러리가 있으면.
아래 영상에서 r에서 하는걸 볼 수 있다.
* 알고 가는 키워드
RESTful 웹 서비스
R에 httr 라이브러리
설명 드렸던 ‘호출 -> xml’ 단계는 밑에 블로그에 마지막 영상 6분 전까지만 살짝 보시면 정리 되실꺼에요.
blog.naver.com/wsdcaptain/221967220087
R언어를 이용한 웹 크롤링(카카오 Json , 네이버 XML) 및 정제 후 파일 입출력까지
안녕하세요. 언제나 휴일에 언휴입니다.R언어로 데이터 분석을 많이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진입하기 ...
blog.naver.com